News plus
News. Trends. Reviews. Attention

상조 서비스, 대관비, 최신 장례 트렌드까지

2025년 장례 절차와 비용 총정리

대관비, 음식값, 운구차, 상조 서비스부터 요즘 장례 트렌드까지 한눈에!

1. 장례 절차의 흐름

장례는 보통 3일장을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1일차엔 고인을 안치하고 빈소를 설치하며, 2일차엔 조문을 받고 예배나 천도재 등을 진행합니다.

 3일차에는 발인과 운구, 화장 또는 매장 순으로 진행되며 마지막 작별이 이뤄집니다.




2. 상조 서비스란?

상조 서비스는 장례 전 과정을 전문 인력이 대신 준비하고 진행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생전 가입형과 필요 시 일시 이용형이 있으며, 의전팀, 장례용품, 운구차, 빈소 설치, 접객까지 모두 포함되기도 합니다. 

비용과 포함 항목은 계약 시 꼭 확인해야 합니다.


3. 항목별 장례 비용

대관비: 병원 장례식장 기준 하루 60만 ~ 100만 원

음식값: 조문객 1인당 약 1만 5천 원, 평균 총 200만 ~ 400만 원

운구차: 기본 20만 ~ 30만 원, 거리 따라 추가 요금 발생

장례용품: 관, 수의, 입관용품 포함 200만 ~ 400만 원

인건비: 도우미 인건비, 접객비 포함 평균 50만 ~ 100만 원



4. 전체 평균 비용

서울 기준 장례 비용은 평균 800만 원에서 1,500만 원 정도입니다.

 화장 여부, 납골당 위치, 상조 유무, 조문객 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사전 준비 여부가 비용 차이를 크게 만듭니다.


5. 실속형 장례 준비 팁

공공 장례식장 이용 시 평균 30% 저렴
가족장 형태로 소규모 진행하면 음식값 절감 가능
상조 서비스 비교 후 최소 구성으로 이용
화장 후 자연장 선택 시 봉안당 비용 대폭 절감


6. 요즘 장례 트렌드 2025

가족장: 소규모 조문, 조용한 분위기 선호

화장 비율 증가: 전국 평균 90% 이상, 납골당 수요 급증

온라인 조문 시스템: 메신저, 영상통화로 추모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반려가족 중심으로 확대 중

친환경 장례: 자연장, 수목장, 생분해 유골함 확산



7. 장례식장 선택 시 꼭 확인할 사항

위치: 고인의 병원 또는 가족 거주지와 가까운지

시설 상태: 빈소, 화장실, 휴게공간 위생 여부

음식 제공 여부: 식당의 맛과 위생, 외부 반입 가능성

가격 정책: 대관비가 일괄인지 시간제인지 확인

화장장과 거리: 운구 거리 및 화장 예약 연계 여부


8. 자주 발생하는 추가 비용

고인 냉장 보관료: 하루당 평균 10만 원

조화/헌화: 별도 구매 시 5만 ~ 30만 원 추가

주차비: 조문객의 불만 요인이 될 수 있음

봉안당 자리: 수도권 기준 평균 300만 원 이상

운구 거리 요금: 20km 이상 시 추가 비용 발생



9. 비용보다 중요한 마음

장례는 단순한 형식이 아닌 고인을 기리는 마지막 예식입니다. 

불필요한 허례허식을 줄이고, 진심 어린 작별에 집중하는 것이 진정한 장례의 의미일 것입니다. 

미리 준비하고 정보를 알아두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